728x90
용산구 빌라의 공시지가 20년 추이다.
(1제곱미터, 곱하기 3.3하면 1평)
꾸준히 올랐다.
2009~2010년 사이 주춤했는데 아마 하락장이어서 오르지 않은것 같다.
부동산 하락장에도 토지의 가격은 상승함을 볼 수 있다.
수도권, 특히 서울은 집값에서 토지가격의 비중이 80%정도 되고
건축물은 20%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.
건축물이 노후화되고 감가상각 되더라도
그 비중은 크지 않기 때문에 집값은 우상향 한다.
왜? 토지 가격이 계속 상승하기 때문
무너져가는 은마아파트가 왜 30억대인지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.
(반면 지방은 건물의 비중이 커서
노후화될수록 집값이 빠질 수 있다.
그래서 지방 신축 대장아파트는
하락장에도 비교적 안전하다고 한다)
'부동산 > 부동산 칼럼 & 인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사기사건 [시세보다 높게부르면 의심해야 하는이유] (0) | 2022.05.25 |
---|---|
2030이 인생을 바꾸는방법 (0) | 2022.05.25 |
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은 위험하다? (0) | 2022.05.19 |
2022 부동산 투자전략 - 머니쇼 이상우 [22.05.13 ] (0) | 2022.05.15 |
7가지 키워드로 보는 시장 전망 [박병찬&놀부] 22.05.13 (0) | 2022.05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