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사이트

월급쟁이가 자산을 증식해야만 하는 이유♥

텐베거_ 2022. 5. 19. 23:02
728x90

가정

▶ 초봉 4100만원
▶ 연 인상률 3%
(진급 시 400만 인상)
▶ 직장생활 20년 뒤 은퇴
▶ 아이 출산 후 저축율 하락

▶ 급여 저축율 예시
사원 60%
대리 50%
과장 30%
차장 20%

20년 직장생활을 가정한 소득표

1) 세전 총소득 11.8억
2) 세후 총 소득 10억
3) 저축액 3.9억

사실 40%나 저축하는 것도 대단한 거라고 본다..

중요한 건 물가상승률 고려 시에 실제 돈의 가치,

구매력은 3.9억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본다.

그럼 20년 모은 돈으로 어디를 살 수 있나 알아보자!

시세지도(22년 4월) - 소나무우유님 블로그
서울 시세 분포도 - 소나무우유님

결론 : 서울에 신축은 못 산다.
아니, 구축도 못 산다.
평균 가격이 12.8억이다..
전세가 7억이니 대출 껴서 전세는 살 수 있을 듯..
(나이는 50대 라는건 함정..)

그러면 이제 생각해보자.

회사생활 열심히 해서 진급 빨리해서 급여 올리고 저축 열심히 한 사람
VS
일 적당히 남한테 피해 안주는 선에서 하면서
출퇴근 시간, 퇴근 후 투자마인드 세팅한 상태로 움직이는 사람.

이들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?

사람이 간절하면 근무중 쉬는시간에도
정보 찾아보고 기계적으로 살게된다.

절박하다면.. 오늘은 좀 편히 쉬고 싶다?
라는 생각조차 들지않는다.

시간날때 유튜브보고 폰게임 하는사람들과
당장 5년 뒤, 10년뒤에 얼마나 차이가 벌어질까?



결론!!!

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12.8억
평균 전세가 7억

"직장생활 80년 정도 하면 월급으로
서울 집 살 수 있다.."


갭이 벌어진다는건 자산의 양극화가
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것인데
저 그래프를 보고도 깨닫지 못했다면..
앞으로 부자되기는 힘들다고 보면 된다.


양극화가 심해진다 =
투자자(자본주의 마인드셋팅한 사람들)와
그렇지 않은 사람들의
자산차이가 급격히 커진다

토끼와 거북이 이야기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.

꾸준한 거북이가 되지 말고
지치지않는 토끼가 되어야 한다.
더 나아가서 달리는 말에 올라타야한다.